KB 국민은행
logo
2023.09.25 (월)
지면보기
구독
한국법조인대관
선고
국립묘지안장거부처분취소
2021-03-15 11:20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URL 복사
인쇄
글자 크기
스크랩
기사 보관함
스크랩 하기
로그인 해주세요.
기사 메일 보내기
로그인 해주세요.
횡령
횡령죄
무공훈장
현충원
무공훈장 받았더라도 50년 전 횡령 전력 있다면

서울고등법원 제8행정부 판결

 

사건202045522 국립묘지안장거부처분취소

원고, 항소인A

피고, 피항소인국립서울현충원장

1심판결서울행정법원 2020. 6. 5. 선고 2019구합72335 판결

변론종결2020. 11. 13.

판결선고2020. 12. 11.

 

주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1심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19. 7. 1. 원고에 대하여 한 망 박B의 국립묘지안장거부처분을 취소한다.

 

이유

1. 1심판결 이유의 인용

이 법원이 이 판결에 기재할 이유는 제1심 판결문 일부를 아래와 같이 고쳐 쓰거나 추가하고, 원고가 당심에서 추가로 주장하는 부분에 대한 판단을 아래 제2항에서 추가하는 이외에는 제1심 판결문의 이유 기재와 같으므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의하여 이를 인용한다.

1심 판결문 제4면 제6(도표는 행수에서 제외한다, 이하 같다)부당인출한 36만 원부당인출한 36만 원과 그중 사용한 6만 원으로 고쳐 쓰고, 7행의 않는 점등에사이에 그 용도가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는 새마을운동 사업용 시설자재 대금을 음식외상대금 변제 목적으로 횡령하고 이를 은폐하기 위하여 허위공문서를 작성하고 이를 비치하여 행사한 점을 추가한다.

이 법원의 판결로 별지 추가 법령을 추가한다.

 

2. 추가 주장 판단

. 원고의 주장

망인은 무공훈장을 수여받은 자로서 국립묘지법 제5조 제1항 제1호 라목에 의하여 원칙적으로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에 해당되고, 다만 심의위원회가 국립묘지법 제5조 제4항 제5호에 의하여 국립묘지의 영예성을 훼손한다고 인정한 경우에 한하여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다. 한편 국립묘지법 제10조 제1항은 심의위원회의 심의 대상을 규정하고 있는데, 1, 2, 32, 33호의 안장대상 해당 여부는 대상자들의 활동과 공헌의 구체적 내용에 근거하여 그들의 충의와 위훈의 정신을 기리고 선양할 만한 대상이 되는지를 심의하여 판정함에 반하여, 3호의 영예성 훼손 여부는 대상자들의 활동과 공헌 등에 대하여는 심의함이 없이 오로지 영예성 훼손만을 심의하여 판정하게 되므로 그 심의대상과 방법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심의위원회는 망인에 대하여 국립묘지의 영예성 훼손 여부에 대하여만 심의하여야 함에도 이와 달리 심의대상을 잘못 지정하여 국립묘지 안장 대상 여부에 대하여 심의를 하였고 이에 따라 의결정족수를 충족하지 못한 의결을 하였으므로, 심의위원회의 잘못된 심의를 근거로 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여 취소되어야 한다.

. 판단

을 제2, 5호증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 망인에 대한 국립묘지 안장 신청과 관련한 심의위원회 심의 당시 작성된 안건제안서(을 제2호증)의 의제란에는 국방부장관이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업무상횡령, 허위공문서작성 동행사 등)로서 국립묘지 안장대상 여부 판단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제안사항란에는 국립묘지법 제5조 제4항 제5(국립묘지의 영예성 훼손)에 해당되어 국립묘지 안장대상이 되는지 여부로 기재되어 있고, 안장자격과 그 근거란에는 무공수훈자(화랑)’국립묘지법 제5조 제1항 제1호 라목이 기재되어 있는 점, 심의위원회는 출석위원 9명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망인이 국립묘지 영예성을 훼손하여 안장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의결을 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심의위원회는 단순히 망인이 국립묘지 안장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만을 심의한 것이 아니라, 무공수훈자(화랑)로 국립묘지법 제5조 제1항 제1호 라목에 해당되어 안장대상자에 해당하는 망인이 국립묘지법 제5조 제4항 제5(국립묘지의 영예성 훼손)에 해당하는지를 심의하여 그 결과로서 국립묘지 안장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심의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다. 설령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심의안건에 대하여 출석위원 9명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망인이 국립묘지 안장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의결하였으므로, 국립묘지법 제5조 제4항 제5호의 의결에 필요한 의결정족수를 충족하였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원고의 주장은 이유 없다.

 

3. 결론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기각한다. 1심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하여 정당하므로, 원고의 항소는 이유 없어 기각한다.

 

 

판사 김유진(재판장), 이완희, 김제욱

주목 받은 판결큐레이션
구독 서비스 결제 안내
이용 중이신 구독 서비스의 결제일은 7월 1일입니다.
원활한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간편결제 신용카드를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footer-logo
1950년 창간 법조 유일의 정론지
논단·칼럼
인기연재
지면보기
굿모닝LAW747
LawTop
footer-logo
법인명
(주)법률신문사
대표
이수형
사업자등록번호
214-81-99775
등록번호
서울 아00027
등록연월일
2005.8.24
제호
법률신문
발행인
이수형
편집인
차병직 , 이수형
편집국장
배석준
발행소(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14층
발행일자
1999.12.1
전화번호
02-3472-0601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순신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순신
인터넷 법률신문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전제,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인터넷 법률신문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