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galedu
  • 법률신문 법률정보

    모아보는 로펌 뉴스레터

     일본 ‘헤이트 스피치’ 작가의 에니메이션 제작 중지

    [해외통신원] 일본 ‘헤이트 스피치’ 작가의 에니메이션 제작 중지

    헤이트 스피치(hate speech), 즉,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 단체 등의 인종, 종교, 민족적 문화 등을 차별적인 의도를 가지고 폄하는 언동(소학관·일본대백과전서)이 일본에서는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원작자의 헤이트 스피치로 인해 동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제작이 중지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아사히 신문은 지난 6월 7일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된 라이트 노벨 ‘두 번째의 인생을 다른 세계에서’의 원작자가 중국과 한국에 대한 차별적 발언을 했다고 해서 라이트 노벨의 출판원인 호비 재팬이 지금까지 간행된 계 18권을 출하정지 할 것을 결정한 동시에 애니메이션 제작위원회에 의한 공식 사이트도 방송 및 제작 중지를 발표했다”고 보도하였다. 동 기사에 따르면, 원작자 ‘마

     피고인과 변호인 사이의 의견 충돌에 관한 최신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

    [해외통신원] 피고인과 변호인 사이의 의견 충돌에 관한 최신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

    형사 사건은 흔히 피고인과 검사 사이의 대립 관계로만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무 현장에서는 피고인과 변호인 사이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대립 관계가 생기는 경우도 흔하다. 피고인은 헌법상에 명시된 형사적 기본권의 행사 여부에 대해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지만, 한편으로는 소송절차 내의 전략적 판단에 관해서는 변호인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종종 기본권 행사와 전략적 판단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최근 2018년 5월 14일에 발표된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결은 이와 관련된 지침을 제시해 준다. (McCoy v. Louisiana, 584 U.S. ___ (2018)) 피고인 로버트 매코이 (Robert McCoy, 이하 ‘매코이’)는 별거 중인 아내의 부모 및 자녀 등 3명

     최근의 일본 저작권법 개정 동향-권리제한규정의 확대, TPP협정 등에 대한 대응

    [해외통신원] 최근의 일본 저작권법 개정 동향-권리제한규정의 확대, TPP협정 등에 대한 대응

    1. 권리제한규정을 확대하는 저작권법 개정산케이신문은 지난 5월 18일 동일, 권리제한규정을 확대하는 개정저작권법이 참의원에서 가결돼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고 보도했다. 타인의 저작물 이용에는 저작권자의 허락이 필요하나 저작권법이 정하는 권리제한규정에 해당하는 경우 권리가 제한되고 허락이 없어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현행법도 사적사용을 위한 복제(30조), 부수대상저작물의 이용(30조의 2), 검토 과정에 있어서의 이용(30조의 3), 기술의 개발 또는 실용화를 위한 시험용으로 제공하기 위한 이용(30조의 4), 도서관 등에 있어서의 복제 등(31조), 인용(32조), 교과용 도서 등에 대한 게재(33조) 등, 학교교육프로그램의 방송 등(34조), 학교 기타 교육기관에서의 복제 등(35조

     미국 변호사 자격증에 대한 정확한 이해

    [해외통신원] 미국 변호사 자격증에 대한 정확한 이해

    사람들은 흔히 미국을 하나의 단일 국가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사실 미국은 50개의 주(state)가 모여서 이루어진 ‘연방(federal)’ 국가이다. 이 점을 고려하면 엄밀히 말해서 ‘한국’변호사처럼 전국적으로 법률활동을 할 수 있는 ‘미국’ 변호사의 개념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즉, 정확히는 각 주에서 변호사 자격증을 획득하여 해당 주 내에서만 변호사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뉴욕 변호사는 뉴욕 주 안에서만, 캘리포니아 변호사는 캘리포니아 주 내에서만 변호사인 것이다 (예외적으로 연방법원은 해당 주 변호사가 아니어도 제한적으로 변호사 권한을 행사할 수 있지만 이는 밑에서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주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주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FCC의 망 중립성 폐지에 관한 법적 고찰

    FCC의 망 중립성 폐지에 관한 법적 고찰

    1. 들어가며지난 12월 14일, 미 연방 통신위원회(FCC)는 망 중립성 원칙을 천명한 2015년 행정명령을 폐기하는 안건을 3대2로 통과시켰다. 망 중립성 원칙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들이 인터넷 서비스의 공공재적 성격을 감안하여 인터넷상의 모든 데이터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사용자, 내용, 웹페이지, 플랫폼, 장비, 전송 방식에 따른 차별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관한 미국에서의 법률상 논의는 통신법상 정보(Information) 서비스{한국의 부가통신(Enhanced) 서비스}로 취급했던 광대역 인터넷 접속 서비스(Broadband Internet Access Service,‘ BIAS’)를 통신(Telecommuni

     하버드 등 일부 미국로스쿨의 입학시험정책 변화

    [해외통신원] 하버드 등 일부 미국로스쿨의 입학시험정책 변화

    지금 미국로스쿨 신입생 선발정책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지원자의 선택에 따라 지금까지 로스쿨지원자들의 필수조건이던 로스쿨 입학시험 LSAT 성적을 대학원 입학시험인 GRE 성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로스쿨이 늘고 있는 것이다. 가장 최근인 지난 10월에는 콜럼비아 로스쿨(Columbia Law school)이 이런 정책변화에 합류했다. 아직까지 숫자로는 그리 많지는 않지만 콜럼비아 외에도 하버드(Harvard) 및 조지타운(Georgetown)과 노스웨스턴(Northwestern) 등 유명 로스쿨들이 입학정책을 바꾸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올해 실시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128곳의 미국로스쿨 중 25% 가 앞으로 GRE 성적을 수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일본 최고재판소,  NHK 수신료 제도 합헌 판결

    [해외통신원] 일본 최고재판소, NHK 수신료 제도 합헌 판결

    NHK의 수신료 제도가 헌법이 보장하는 계약의 자유에 반하는지 여부가 다투어진 상고심 재판에서, 일본 최고재판소 대법정(재판장 테라다 이쓰로우 장관)은 지난 2017년 12월 6일 이 제도는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판결을 선고하고 쌍방의 상고를 기각했다(같은 날 마이니치 신문 인용). 이번의 재판은 2006년에 텔레비전을 설치한 후 “편향된 방송에 불만이 있다”며 수신계약을 거부하고 있던 도쿄도 내의 60대 남성을 피고로, NHK가 계약 체결과 미지급분의 지급을 청구하는 소송을 2011년에 제기한 것이다. NHK는 지금까지 미계약자에 대한 동종소송을 약 300건 제기해 왔지만 최고재판소가 이에 대해 판단을 한 것은 처음으로, 국민이 공평하게 재원을 부담하여 NHK를 유지하는 제도의 합리성을 사법부가

     러시아 외국인투자의 법적 규제와 시사점

    [해외통신원] 러시아 외국인투자의 법적 규제와 시사점

    러시아의 외국인투자 관련 법령은 러시아에서 외국인의 직접투자 필요성이 절실한 만큼 꾸준히 보완되거나 촉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러시아의 외국인투자 관련 법들은 첫 째, 헌법과 민법에 명시된 것처럼 내국인과 외국인의 기업활동에 대한 동등원칙을 들 수 있다. 둘 째,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의 원칙과 규범 및 러시아 연방이 체결한 국제조약은 러시아 연방 헌법에 따라 러시아 연방 법체계의 주요 구성 부분이며 러시아 연방이 체결한 국제조약이 민사입법의 규정과 다르게 정한 경우에는 국제조약의 규정을 적용한다'(러시아 연방 헌법 15조 4항)라는 러시아 헌법의 본 조항에 따라 국내법보다 국제조약 우선 원칙은 러시아 외국인투자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이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지역의 고른

     마샤의 은퇴식

    [해외통신원] 마샤의 은퇴식

    지난 달, 제가 일하고 있는 베이커바츠의 뉴욕 사무실에서 의미 있는 작은 은퇴식이 열렸습니다. 이 은퇴식은 35년간 이 곳 베이커바츠의 뉴욕 사무실에서 근무한 사무직원(paralegal) 마샤를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마샤와 저는 비슷한 자리에서 근무하고 있었기 때문에, 저는 이곳 뉴욕 사무실에 출근하는 첫날부터 그녀와 알고 지내게 되었습니다. 은발이긴 하지만, 워낙 건강해 보였고 늘 웃으면서 활기차게 일하는 모습 때문에, 마샤는 50대 중반의 직장 여성으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다 작년 연말 송년회장에서 마샤가 35년째 이곳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을 듣고, 저를 포함하여 이곳에서의 근무 경력이 오래지 않았던 사람들이 모두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은퇴식을 통해서 그녀

     미국정부, 블록체인 기술의 파급효과에 주목

    [해외통신원] 미국정부, 블록체인 기술의 파급효과에 주목

    미국정부는 블록체인 기술(Blockchain Technology)이 금융산업 등 산업전반에 가져올 파급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블록체인의 개념 블록체인(Blockchain)은 가상화폐 비트코인(bitcoin)의 기반 기술로, 거래 데이터를 중앙집중형 서버에 기록·보관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거래 참가자 모두가 데이터를 공유하고 정기적으로 갱신하여 위·변조가 어려운 분산형 디지털 장부(distributed digital ledger) 기술을 뜻한다. 블록체인에서는 모든 네트워크 사용자가 자신의 확인된 원장(元帳, ledger) 사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커가 네트워크상 접속점(node)의 절반 이상에 침투해야 해킹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시스템의 보안이 사실상 보장되고, 사용자가 서로 직접

    [해외통신원] 美연방지법, 테슬라의 급발진 집단소송 각하 요청 기각

    배우 손지창 등이 제기… “가속페달 밟았어도 테슬라가 책임져야” 배우 손지창 등이 전기차 업체 테슬라를 상대로 제기한 급발진 관련 피해 소송에서 미국캘리포니아 중부 연방지법은 7일 해당 소송을 각하해달라는 테슬라 측의 요청(motion to dismiss)을 기각했다. 이로서 테슬라는 급발진 관련 집단소송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앞서 지난 4월 테슬라 측은 지난해 12월 한국의 가수이자 배우인 손지창이 제기한 이 집단소송에 대해 원고 측의 보증청구(warranty claims)는 보증의 범위를 넘어선 설계상 결함(design defect)에 대한 것이므로 이 소송을 각하(motion to dismiss)해줄 것을 요청했다. 미 법률전문매체인 Law360에 따르면 연방지법의 제임스 셀르나 판사(J

     미국 특허법의 징벌적 손해배상과 변호인 의견서

    [해외통신원] 미국 특허법의 징벌적 손해배상과 변호인 의견서

    Ⅰ. 서 미국 특허법은 특허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액을 부과하는 경우, 산정된 손해액의 3배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중된 배상액을 부과할 수 있도록 법원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다. (35 U.S.C.A. § 284). 미국 특허법원은 특허법 § 284의 규정에 근거하여, 악의 또는 고의로 특허를 침해한 특허 침해자에게 징벌의 목적으로 가중된 손해 배상액을 부과하여 왔다. Beatrice Foods Co. v. New England Printing & Lithographing Co., 923 F.2d 1576, 1578 (Fed.Cir.1991). 일반적으로 특허 침해자들은 특허권자로부터 특허 침해의 통지를 받게 되면, 변호사에게 자신의 제품이 해당 특허를 침해하였는지에 대한 자문

    소프트웨어의 특허 적격

    소프트웨어의 특허 적격

    -앨리스 판결 이후 미국 특허 법원 판례 검토 - 1. 들어가며 미 연방 대법원의 앨리스 판결 (Alice v. CLS Bank, 134 S.Ct. 2347(2014))은 마요 판결(Mayo v. Prometheus)에서 특허 적격 심사에 도입한 2단계 테스트를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특허 적격 심사에까지 확대하였다. 이 판결 이후 많은 수의 소프트웨어 관련 특허들이 무효로 되었다. 한 연구 자료는 앨리스 판결 이후 첫 1년 동안 소프트웨어에 대한 특허 무효율은 82.9%라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앨리스 판결이 소프트웨어의 특허 적격 자체를 부인하는 것은 아니며, 닷컴 열풍 이후 특허 괴물들이 무분별하게 출원한 질 낮은 소프트웨어 특허들을 솎아내는 것이다 . 한편, 앨리스 판결은 특허 적격

    미국의 社內소셜미디어 활동 감시법제 동향과 그 시사점

    미국의 社內소셜미디어 활동 감시법제 동향과 그 시사점

    Ⅰ. 서설 미국에서는 최근 회사가 영업비밀, 회사 명성 등 경영상 이유로 직원들의 소셜 미디어 활동에 대한 감시를 하고 그로 인한 직원의 프라이버시와 표현의 자유등 침해 문제가 논란이 되면서 정부가 이에 개입하여 이른바, 소셜 네 트 워 킹 보 호 법 ( S o c i a l Networking Online Protection Act-H.R.5050, ‘SNOPA’)을 제정하기에 이르렀다.관련 문제로서 정보통신기기에 의하여 스마트 워크 확산 및 그로 인한 노동 강도 증가와 감시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역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사정은 비단 미국의 일만이 아니라 우리나라도 주요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Ⅱ. 최근 미국에서의 직장 내 소셜미디어 감시 문제

     미국 특허 침해 소송에서 프랜드(frand) 주장

    [해외통신원] 미국 특허 침해 소송에서 프랜드(frand) 주장

    1. 들어가며 우리가 다른 회사의 핸드폰을 사용하더라도 전화통화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와이파이(WiFi) 단자가 있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접속하여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은 표준제정기구 (standard-setting organization, ‘SSO’)들의 기술 표준화 노력에 따른 결과이다. SSO의 표준화 활동은 제조업체들에게도 다른 업체의 제품과 호환이 가능한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새로운 부가기능의 탑재를 용이하게 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한다. 표준으로 채택된 기술 중에서 기존에 특허 등록된 기술들은 실질표준특허 (standard-essential patents, ‘SEP’)라 불린다. 표준 제품을 만들려면, SEP보유자로부터 특허 라이선스를 받아 SEP를 사용하여야

    3M社에게 부당한 특허권 행사로 인한 손해배상 판결

    3M社에게 부당한 특허권 행사로 인한 손해배상 판결

    미국 연방항소법원 TRANSWEB, LLC v. 3M INNOVATIVE PROPERTIES (2016년 2월 10일 선고) 1.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의 원고와 피고는 모두 플라스마 불소화를 이용한 일렉트릿 분리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었다. 1997년 5월 TransWeb社는 전시회에서 자사가 개발한 플라즈마-불소 필터(Plasma-fluorinated filter)인 'T-Melt'에 관한 기술을 구두로 발표하고 샘플을 배포하였다. 그런데 3M社가 특허출원 시 전시회 주최 측과 계열사를 통해 TransWeb社의 필터 샘플을 얻고도, 그 사실을 미국 특허청(USPTO)의 심사관에게 알리지 않고 1998년 7월 2일을 우선일로 해서 2003년 10월 7일 출원 하고 2004년 10월 26일 공

    개정 싱가포르 국제중재센터 중재규칙의 주요 내용과 의미

    개정 싱가포르 국제중재센터 중재규칙의 주요 내용과 의미

     2016년 8월 1일자로 개정 싱가포르 국제중재센터(SIAC) 중재규칙이 시행이 되었다. 2013년 5판 개정에 이어 이번이 6판 개정이다. 최근 발표된 SIAC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에 새로 접수된 사건 수 기준으로 한국기업이 인도,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국제계약 체결 시 분쟁해결조항에 싱가포르 중재를 선택한 한국기업들이 이미 많다는 것이고, 한국 기업들의 동남아 시장 진출에 비추어보더라도 이러한 경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개정 SIAC 중재규칙의 내용과 의미를 검토해 보는 것은 이미 SIAC 중재를 계약서에서 선택한 기업들에게 뿐만 아니라 앞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당사자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한국변호사의 미국 디스커버리 (Discovery) 체험담

    한국변호사의 미국 디스커버리 (Discovery) 체험담

    우리나라 변호사들이 외국 특히 미국의 사법제도 중 가장 익숙하지 않은 것을 꼽으라면 단연 증거법과 디스커버리(Discovery) 관련이다. 그 중 증거법은 우리나라와 유사한 점이 제법 있어서 조금 적응하면 할 수 있다.  하지만, 디스커버리는 적응하려면 제법 시간이 걸린다. 우리나라에서 디스커버리가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디스커버리는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최근 디스커버리, 이-디스커버리(E-discovery) 등에서 보듯이 이론과 실무가 나날이 발전하고 있어 배울 점이 많다. 이 글에서는 한국식으로 훈련 받은 필자가 미국식 디스커버리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것들, 혹은 어려움을 겪은 경우들을 적어본다. 디스커버리는 그

    EU 및 독일 정부조달법 개혁

    EU 및 독일 정부조달법 개혁

    I. 개요 유럽 정부조달 분야는 엄청난 도전과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2014년 2월 EU가 제정한 소위 정부조달 3종 지침의 EU회원국 국내법 수용 기한이 2016년 4월 18일 도래하였다. 모든 EU회원국은 지침에 따라 EU가 정한 일정액 이상의 계약에 대한 국내 정부조달법을 개정하여야 하고 EU경계치 이하의 계약도 원칙적으로 EU지침에 부합하도록 운용하여야 할 의무를 부담한다. EU GDP의 15% 이상(향후 Concession계약이 정부조달법에 포함되므로 그 규모는 더욱 커진다)으로 추정되는 EU 정부조달시장의 변화 및 그에 따른 회원국의 제도개선은 종래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혁신적이다. II. EU조달법규의 개정 EU는 2014년 2월 소위 EU정부조달 현대화법 3종세트를 발표하

    미국 민사 배심재판제도에 대한 비판과 반박

    미국 민사 배심재판제도에 대한 비판과 반박

    I. 개요 미국 수정 헌법 제7조에서는 "보통법에 의한 소송 중 소가액이 20달러를 초과하는 경우, 배심원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가 보장된다. 나아가 보통법의 규정에서 정하는 이외에는 배심원이 심리한 사실에 대해서는 미국의 어떠한 법원에서도 재심을 받지 않는다"고 정함으로써 민사 배심 재판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그렇지만 최근 미국에서는 민사 배심재판제도의 이용이 줄어들고 있고,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민사 배심재판제도를 폐지하자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민사 배심재판제도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한 반박을 살펴보고자 한다. II. 민사 배심재판제도는 분쟁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아니라는 비판에 대하여 민사 배심재판제도 폐지론자들은 위 제도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1. 1
    2. 2
    3. 3
    4. 4
    5. 5
    6. 6
    7. 7
    8. 8
    9. 9
    10. 10
  •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