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스크레이핑 관련 대법원 2022. 5. 12. 선고 2021도1533판결(야놀자 v. 여기어때 사건)의 검토
[2022. 9. 21.]
1. 사실관계
피고인이 패킷분석을 통해 원고의 모바일 앱용 API 서버로 정보를 호출하는 명령구문을 알아 낸 후 마치 정상적인 이용자가 위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것처럼 위 API서버로 정보를 호출하는 명령구문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위 API 서버에 접근하여 피해자의 숙박정보를 취득한 사건이다. 피고인이 수집한 피해자의 숙박정보는 적게는 ‘업체명, 주소, 지역’의 3개 항목에서 많게는 ‘업체명, 방이름, 원래금액, 할인금액, 업체주소, 입실시간, 퇴실시간, 날짜’등 8개 항목에 관한 정보였다.
기존의 웹크롤링(web crawling), 데이터 스크레이핑(data scraping) 사건은 대체로 surface web(indexed web)의 정보를 수집한 사안으로 생각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