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이원석 검찰총장이 지난 1년을 돌아보며 "주저앉아 있던 검찰이 다시 일어나 헝클어진 실타래를 하나씩 풀고 긍지와 열정을 갖고 국민에 봉사하는 기관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25일 대검찰청에 따르면, 이 총장은 월례회의에서 "1년 전 5월 23일 총장 직대로 대검찰청에 들어서며, '바뀐 법률 탓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오로지 국민만 바라보고 국민을 섬기는 자세로 전력을 다하는 것이 국민 신뢰를 얻는 유일한 길'이라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이 총장은 지난해 5월 대검찰청 차장검사로 임명돼 검찰총장 직무대리를 맡다 9월 제45대 검찰총장에 취임했다.
이날 이 총장은 이른바 '검수원복'을 두고 "작년 5월 형소법·검찰청법 개정으로 범죄에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없게 된 상황에서, 공동체의 토대를 무너뜨리는 중요범죄에 맞서 검찰이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법령과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급선무였다"며 "장관 승인 없이는 수사팀을 만들 수도, 법무부 승인 없이는 검사를 파견할 수도 없게 하고, 검찰청 별로 단 1개 부서에서만, 그것도 총장 승인 없이는 직접수사를 못하도록 막았던 법령을 고쳐 다시 뛸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이 총장은 민생침해범죄에 대한 철저한 대응도 강조했다. 그는 보이스피싱·전세사기·마약범죄 등 수사의 성과를 언급하며 "검찰의 첫째 과제는 '민생침해범죄'로부터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여 평온한 일상을 지키는 것이며, 지난 1년간 보이스피싱, 전세사기, 성폭력, 스토킹, 마약, 금융사기에 전력을 다해 대응했다"고 했다. 이 총장은 주변에 보이스피싱·마약범죄 등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기여한 총장으로 남고 싶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고 한다.
최근 대검 마약·조직범죄부를 복원하고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수부를 직제화한 것을 두고는 "물을 깊이 파 큰 배를 띄워 국민의 기본권을 두텁게 보호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이 총장은 "성폭력, 스토킹범죄로부터 여성 보호를 돌아보며 여성을 범죄로부터 보호하고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일은 공동체를 유지하고 발전토록 하는 기본임을 명심하고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의 척결에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고 하기도 했다. 또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탈북 어민 강제북송 사건 수사에 대해 "국가의 존립과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공공의 안녕은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기 위해 그 전제가 되는 핵심적 헌법가치이므로, 검찰은 이를 지켜내야 할 책무가 있다"며 "진실을 규명해 누구든 인간으로서 가진 불가침의 권리를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끝으로 "(명심보감에) '반걸음이라도 쌓이지 않으면 천리에 이를 수 없고, 작은 물길이 쌓이지 않으면 강과 바다를 이룰 수 없다'고 하였듯, 검찰의 일에 지름길은 없으니 정성을 다해 국민의 곁을 지키는 '축적의 시간'을 함께 쌓아 나가자"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