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야흐로 ESG의 시대이다.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를 지칭하는 이 용어는 이제 가히 시대정신 반열에 이르렀다. 작년 말 ESG 열풍이 막 불기 시작했을 때, 지금처럼 기업사회 전반을 휩쓸거라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았던 것 같다. 실상 한국사회의 여러 문제 해결이나 사회적 목표 달성이 자생적인 노력보다는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분위기에 떠밀려 단기적인 시늉에 그치는 경우가 허다했기 때문이다. 필자도 ESG 열풍이 그리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상황이 그렇지 않은 것 같다. 무엇보다 인간의 욕망에서 촉발된 환경파괴가 코로나 팬데믹의 근원으로 지목되고, 글로벌 자산운용사, 국내 대형연기금과 PE운용사들이 앞다투어 ESG를 중요한 투자기준으로 삼으면서 기업들도 ESG를 생존의 문제로 인식하게 된 것 같다. 이러한 ESG 투자의 확산은 ESG 경영을 독려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보인다. 비재무적인 ESG 요소를 잘 관리하고 실행하면 재무적 결과도 궁극적으로 좋아질 수 있다는 생각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폐쇄기업이 공개기업으로 질적 전환하는 IPO는 ESG 경영의 중요성을 체화하고 ESG투자를 체감할 수 있는 매우 좋은 기회이다. 특히 S와 G 영역에서 의미가 있다. 기업은 IPO를 통해 다수의 소액주주, 거래처 및 시민사회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주주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과 가치제고를 위해 조직을 구축하고 실행해야 한다. 또한 상장전 투자유치는 물론 성공적인 거래소 상장심사 승인을 위해서 투명한 기업지배구조와 준법경영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우리사주조합과 스톡옵션을 통해 상장의 과실을 임직원과 공유할 수 있는 플랜을 설계해야 하고, 기업의 계속성 관점에서 거래처와의 건전한 관계도 점검받게 된다. 무엇보다도 IPO 성공을 절실하게 원하는 최대주주와 경영진이 ESG의 의미와 중요성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이를 위해 ESG 관점에서 상장준비 및 심사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1년째 이어지고 있는 IPO 열풍이 ESG 열풍을 이끄는 새로운 기폭제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이행규 변호사 (법무법인 지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