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법인 지평(대표변호사 김지형)이 기업 운영 전 과정에서 인권 친화적 경영을 돕는 '인권경영팀'을 발족하고 관련 법률서비스를 제공해 화제다. 인권경영에 관한 전문팀을 만든 것은 지평이 처음이다.
최근 기업들은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자 인권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달 26일 법무부와 국가인권위원회는 기업의 인권침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자를 돕는 '인권경영' 확산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시는 13일 산하 1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인권경영 이행 현황에 대한 지도·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인권경영은 국제적 추세
기업평가 중요 기준으로
지평은 지난 해 12월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인 임성택(56·사법연수원 27기) 대표변호사 총괄 아래 회사법 전문가인 신민(49·30기) 변호사, 공익법단체 공감 출신의 김영수(50·33기) 변호사, 인권 관련 자문·소송 경험이 풍부한 박성철(45·37기)·김태형(44·39기) 변호사 등 16명의 변호사로 구성된 '인권경영팀'을 출범했다.
팀의 주요 업무는 △인권 관련 경영체제 및 정책 자문 △기업에 특화된 '인권실천점검의무(Due diligence)' 지원 △인권침해 사안 조사 △구제방법 자문 △인권위 또는 UN 인권기구 등의 진정사건 처리 △인권 관련 민·형사 소송사건 처리 등이다. 이를 위해 기업 특성에 맞는 인권정책을 자문하고,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관련 교육을 실시하며, 인권침해 사안이 발생했을 때 조사 진행 및 구제방법 등을 자문하고 관련 사건을 수행한다.
또 인권실사의 내재화를 통해 기업의 경영리스크를 감소시키는 데 주력한다. 이를 통해 기업에 대한 소비자 및 투자자의 신뢰도를 높이고 이미지 손상을 막는다. 인권침해로 인한 인재 유출을 막아 생산성 향상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기업 인권정책·구제방안 등
자문, 관련사건 수행
대표적인 자문 사례가 'SK그룹의 사회성과인센티브(Social Progress Credit, SPC) 관련 법률 자문'이다. SK그룹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기업을 대상으로 현금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지평 인권경영팀이 인권 관련 평가를 돕고 있다. 또 금융소외 및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에 재원을 유통하는 '임팩트금융' 사업과 관련해 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에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김영수 변호사는 "국가만큼 기업이 개인의 삶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오늘날 인권경영은 국제적 추세"라며 "코카콜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은 오래전부터 인권경영을 위한 체계적인 전략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연스럽게 기업 평가에 있어서도 성과나 실적만큼이나 인권경영 시스템의 작동 여부가 중요한 기준으로 떠올랐다"며 "컴플라이언스 자문과 컨설팅을 제공하는 컴플라이언스센터 등과 협업해 우리 기업들이 국제적 수준의 준법·윤리경영 체계를 확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