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국민은행
top-image
logo
2023.06.01 (목)
한국법조인대관
나의 주말
[나의 여행기] 폴란드 그단스크에 다녀온 이태원 변호사
인터넷 기자
2021-08-05 10:26
골든게이트 지나 옛 거리 들어서면 마치 中世에 온 듯

 

171888_1.jpg
녹색교 위에서 바라본 모트와바강의 모습, 그단스크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들러야 할 명소이다

   

171888.jpg바다가 있어 폴란드 사람들에게도 아름답고 특별하게 느껴지는 폴란드의 도시 그단스크, 폴란드 대통령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레흐 바웬사'가 조선소 노동자로 일했던 이곳은 발트해로 이어지는 모트와바 강 하구에 있는 아름다운 항구도시이다.


아름다운 항구 도시지만

2차 대전의 아픔이 서려 


하지만 아름답게만 보이는 이 항구도시에도 아픔이 서려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은 폴란드를 침공하고 전쟁 내내 그단스크를 점령했다. 이 광정에서 도시는 심각하게 파괴됐고 1945년 폴란드에 반환되고 나서야 재건사업이 시작됐다고 한다. 그렇게 해서 되살아난 구시가지가 골든게이트에서 시작해서 그린게이트에서 끝나는 '드우기거리'이다. 드우기는 폴란드어로 ‘긴’이라는 뜻이다. 이 거리는 그단스크 중심의 도심을 동서로 가르며 약 500미터가량 이어지는 넓은 도보전용 거리인데, 양쪽에는 알록달록 채색된 중세 건물로 가득하다. 

 

171888_3.jpg
드우기거리 시작을 알리는 골든게이트, 이문을 통해 그단스크의 구시가지인 드우기거리로 들어서면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중세시대로 시간여행을 온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놀라운 것은 구시가지의 모든 건물이 2차 세계대전 후 쑥대밭이 돼버린 것을 1950년대부터 다시 만든 것이라는 점이다. 그 많은 건물들의 도면이 온전히 남아 있지도 않았을 텐데 오랜 기간 꼼꼼히 복원한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복원이라는 작업이 마냥 과거 번성했던 한 시기의 모습을 흉내내는데 그쳤다면 그 도시는 영화 세트장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단스크는 도심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독일의 흔적을 철저히 지워내고 민족정신을 바로 세우는데 성공했다. 건축물 뿐만 아니라 거리의 이름까지도 독일에서 유래한 것은 철저히 배제하고 서두르지 않으면서 잃어버린 영광을 되찾는 작업을 한 결과이다. 그래서 그런지 그단스크의 건축물들을 둘러보면 다시 만든 것임을 전혀 알아차릴 수 없을만큼 자연스럽다.


독일 침공으로 파괴된 건물 복원하며 

상흔도 지워

 

그단스크 구시가지의 초입에는 '골든게이트' 즉 황금의 문이라고 불리는 1612~1614년 사이에 건설된 르네상스식 건축물이 있다. 골든게이트는 금색 장식으로 꾸며져 있고, 왕이 입성해 걷던 길의 입구를 상징하기에 황금의 문이라는 것인데 개선문과도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다. 이 문을 통해 그단스크의 구시가지인 드우기거리로 들어서면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시간 여행을 떠나온 것처럼 중세의 다른 세상에 와 있는 느낌이 든다. 그단스크 구시가지가 예쁘다는 말은 많이 들었지만 스윽 풍경만 둘러봐도 정말 아름답다는 감탄이 절로 나올 지경이었다.

 

171888_8.jpg
골든게이트를 지나 드우기 거리로 들어오면 보이는 높이 솟은 시청사 건물, 시청사 내부는 현재 역사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그단스크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골든게이트를 지나 드우기 거리로 들어오면 먼저 높이 솟아 있는 시청사 건물이 눈에 띈다. 1346년 시공돼 15세기까지 오랜시간을 걸쳐 완공됐다는 높이 83m의 뾰족한 고딕 양식 첨탑이 마치 하늘을 찌를 듯하다. 시청사 내부는 현재 역사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그단스크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171888_2.jpg
넵튠 분수, 넵튠은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말하며 그단스크의 수호성인이다

 

드우기 거리의 중간쯤에는 그단스크의 상징 중 하나인 넵튠 분수가 있다. 분수 중앙에는 17세기에 청동으로 만든 넵튠 동상이 있는데, 넵튠은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말하며 그단스크의 수호성인으로 불리고 있다. 넵튠 동상은 2차 세계 대전 당시 파괴를 막기 위해 도시의 다른 보물들과 함께 숨겨졌다가 전쟁이 끝나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다고 한다. 


171888_9.jpg
드우기거리 끝 그린게이트, 현재는 국립 박물관으로 사용 중이다

 

드우기거리 끝에는 '그린게이트', 즉 녹색 문이 있다. 벨기에 안트베르펜 시청사를 모델로 해 16세기 후반 폴란드 왕의 공식 거주지로 건설됐다고 하는데 현재는 국립 박물관으로 사용 중이다. 전 폴란드 대통령 레흐 바웬사의 그단스크 집무실도 여기에 있었다고 한다. 초입의 '황금의 문'과 다르게 여러 개의 아치로 된 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린게이트 지나면 드우기 거리와 어느 섬을 잇는 다리가 나타난다. 녹색 문이 들어서기 바로 전에 건설된 다리로, 그 다리의 이름도 '녹색교'이다. 녹색교는 처음에는 다리 높이보다 큰 배들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들어 올릴 수 있는 도개교형식으로 설계됐다고 전해지나 수 차례의 보수공사로 현재는 그런 모습을 찾기 어렵다.


녹색교 위에서 바라 본

구시가지 풍경에 탄성이… 


초기에는 다리를 구성하는 돌들이 녹색빛을 띄었다고 하는데, 그린게이트와 마찬가지로 녹색교에서도 더이상 녹색 돌은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녹색교는 그단스크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들러야 할 명소이다. 다리 위에서 바라본 모트와바강의 모습이 도시를 대표하는 명장면을 선사하기 때문이다. 


그단스크는 항구도시지만 바다와는 거리가 있어 모트와바 강변에서 바다를 어렴풋이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녹색교에서 그단스크쪽 강변을 바라보면 그단스크가 중세 시대 유럽에서 얼마나 붐비는 항구였을지 짐작할 수 있다. 시대가 흘러 선박 크기가 점점 커지면서 그단스크 항구도 강에서 먼 바다 쪽으로 이동했을 것이고, 이제 모트와바강 강변에는 더 이상 예전처럼 짐을 싣고 나르는 선박은 찾을 수 없다.

옛 중세 시절 모습 그대로 꾸며진 선박들은 이제 물건 대신 관광객들을 강 위로 안내하고 있다. 강변의 화물창고는 레스토랑으로 옷을 갈아입었고 크레인은 해양박물관의 부속건물이 됐다. 모트와바 강변 동쪽에는 보다 현대적인 건물들이 들어서 있고 그 귀퉁이에 2016년에 엠버스카이라는 대형 관람차가 생겼다.

녹색교 위에서 강가를 따라 세워져 있는 이런 아름답고 조화로운 형형색색 건물들을 바라보고 있자면 탄성이 절로 나온다. 이렇게 보석같은 도시가 유명관광지로는 많이 알려지지 않아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강변과 그 사이로 보이는 구시가지 풍경을 눈과 가슴속 깊은 곳까지 한가득 담아 왔다.


이태원 변호사 (법무법인 남부제일)

리걸 에듀
1/3
legal-edu-img
온라인 과정
전사원이 알아야 할 계약서 작성 상식
고윤기 변호사
bannerbanner
신문 구독 문의
광고 문의(신문 및 인터넷)
기타 업무별 연락처 안내
footer-logo
1950년 창간 법조 유일의 정론지
굿모닝LAW747
LawTop
footer-logo
법인명
(주)법률신문사
대표
이수형
사업자등록번호
214-81-99775
등록번호
서울 아00027
등록연월일
2005.8.24
제호
법률신문
발행인
이수형
편집인
차병직 , 이수형
편집국장
배석준
발행소(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1402호
발행일자
1999.12.1
전화번호
02-3472-0601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순신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순신
인터넷 법률신문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전제,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인터넷 법률신문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