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국민은행
logo
2023.09.21 (목)
지면보기
구독
한국법조인대관
신선경의 와인이야기
포르투갈 그린와인 ‘발라도스 드 멜가쏘 리제르바 2018’
신선경 변호사 (법무법인 리우)
2022-06-07 09:07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URL 복사
인쇄
글자 크기
스크랩
기사 보관함
스크랩 하기
로그인 해주세요.
기사 메일 보내기
로그인 해주세요.
와인 맛을 통해 그 나라의 기후·토양을 느낄 수 있어

2022_shin_wine.jpg

 

179091.jpg

드디어 하늘길이 다시 열리고 있다. 안전하게 해외여행을 다시 할 수 있게 된 건 반갑지만, 나는 안타깝게도 와인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해외여행 기분을 낼 수 있는 상황이다. 바쁜 와중에도 와인의 맛을 통해 그 나라의 기후와 토양을 느낄 수 있으니, 그걸 여행 대신으로 생각하는 거다. (와인으로) 프랑스와 이태리는 자주 가는 편이고, 간혹 미국과 스페인도 가는데 최근에는 포르투갈을 다녀왔다. 실제로 가본 적이 없는 포르투갈에 대해 아는 것은 해양무역이 발달할 시절부터 장기보존용 와인으로 주정강화와인인 포트와인과 마데이라가 유명하다는 것과 축구를 잘한다(호날두) 정도였다. 

 

그러다 최근에 포르투갈 그린와인(vinho verde, 비뉴 베르드)을 마셔봤다. 포르투갈은 디저트와인만 잘한다는 편견을 깨는 맛이었다. 이름과 달리 초록색이 아니고, 생산지가 포르투갈 북부의 Minho(미뉴)주의 비뉴베르드여서 그린와인이다. 그곳에서 생산되면 레드, 화이트, 로제 상관없이 그렇게 불린다. 비뉴베르드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인 포르투갈에서 비교적 북쪽 끝에 있어서 다른 곳보다는 서늘하고, 해안에도 접해 있기 때문에 포도가 토양에 축적된 조개껍질 등을 통한 미네랄감과 바닷바람의 짭짤함이 있다.

 

내가 마신 그린와인은 발라도스 드 멜가쏘 (Valados de Melgaco) 리제르바 2018이고, 알바리뇨(Alvarinho) 품종으로 만들어진 화이트 와인이다. 2018년도는 포르투갈이 유독 더워 포도가 빨리 익어서 생산자가 좀 더 빨리 병입했다고 한다. 

 

스페인도 토착품종으로 알바리뇨(Albarino)가 있지만, 포르투갈도 스페인 접경지역에서 주로 재배하며 자신들의 토착품종이라고 하고 있어서, 이베리아 반도쪽에서 주로 생산되는 화이트 품종이라 보는 것이 보다 정확하다. 소비뇽 블랑 화이트 와인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포르투갈 알바리뇨 그린 와인의 청량하고 바삭한 느낌을 좋아할 것 같다. 산미가 있어 해산물 위주의 포르투갈 음식과도 어울리겠다. 언제쯤 와인 생산국에 직접 가서 마실 날이 올까?



신선경 변호사 (법무법인 리우)


리걸 에듀
1/3
legal-edu-img
온라인 과정
실무자를 위한 행정처분 대응방법
김태민 변호사
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
PDF 신문
신문 구독 문의
광고 문의(신문 및 인터넷)
기타 업무별 연락처 안내
구독 서비스 결제 안내
이용 중이신 구독 서비스의 결제일은 7월 1일입니다.
원활한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간편결제 신용카드를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footer-logo
1950년 창간 법조 유일의 정론지
논단·칼럼
인기연재
지면보기
굿모닝LAW747
LawTop
footer-logo
법인명
(주)법률신문사
대표
이수형
사업자등록번호
214-81-99775
등록번호
서울 아00027
등록연월일
2005.8.24
제호
법률신문
발행인
이수형
편집인
차병직 , 이수형
편집국장
배석준
발행소(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14층
발행일자
1999.12.1
전화번호
02-3472-0601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순신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순신
인터넷 법률신문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전제,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인터넷 법률신문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