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국민은행
top-image
logo
2023.06.06 (화)
지면보기
한국법조인대관
법원
[심층 분석] 경력법관, 로스쿨은 ‘서울대’, 로펌은 ‘김앤장’ 출신 최다
박수연 기자, 한수현 기자, 이용경 기자
2023-03-06 06:36
법조일원화 10년

185824.jpg

 

185824_1.jpg
▶ 클릭하여 크게 보기 ◀
  
185824_2.jpg
▶ 클릭하여 크게 보기 ◀

 


사법연수원 또는 로스쿨을 졸업한 경력법관 1,074명의 출신 대학과 로스쿨, 전직장 직역, 변호사의 경우 직전 근무지 등을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PYTHON)’으로 사회연결망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 툴을 짜서 분석했다. 구성원의 데이터 관계를 3차원으로 분석하는 SNA는 복잡한 관계망을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표현한다. 
 

법조일원화 정책에 따라 지난 10년 간 임용된 법관 중 로스쿨 출신은 서울대가, 로펌 출신은 김앤장 법률사무소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3년부터 시행돼 올해 법조일원화 시행 10년 째를 맞아 법률신문은 10년 간 임관한 경력법관 1,098명을 전수조사했다. 다만 특정사건 재판만 맡는 법관으로 20년 이상 법조 경력자 중 선발된 전담법관(24명)을 제외한 1,074명을 집중 분석했다. 법조일원화 제도는 사회 각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과 경륜을 쌓은 법조인을 판사로 임용하겠다는 목적으로 시행됐다. 

 

로스쿨 출신(357명) 법관 가운데에서는 가장 많은 17.6%가 서울대 로스쿨을 나왔고, 성균관대 12.3%, 이화여대 9.2% 순이었다.

 

로펌 출신 가운데에서는 김앤장 법률사무소 출신이 총 89명(8.3%)로 가장 많았다. 김앤장 법률사무소, 법무법인 광장·세종·태평양·율촌·화우·지평·바른·대륙아주·동인 등 10대 로펌(국내 변호사 수 기준)에서 채용된 인원이 26.6%에 달했다.

 

부장판사 출신인 한 변호사는 “연수원 성적 등 객관적인 비교 지표가 없는 상황에서 일부 로펌이나 특정 로스쿨 출신들이 많이 오는 건 법조일원화와 맞물린 로스쿨 교육 체제 하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법조 일각에선 “다양한 배경을 가진 법조인을 법관으로 선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법조일원화 제도로 요구되는 법관 임용의 최소 경력을 현재 5년 이상으로 하고 있지만 2025년부터는 7년 이상이 요구된다. 법원 내부에선 법조 경력이 앞으로 7, 10년으로 늘어날 경우 판사 수급 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대다수의 우수한 법조인은 대형 법무법인과 검찰 등에서 자리를 잡아 법원에 지원할 유인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에 따라 2021년 8월 법관 임용에 필요한 최소 법조경력을 5년으로 유지하는 법원조직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됐다. 이런 내용의 법원조직법 개정안은 다음 국회에서 다시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박수연·한수현·이용경 기자 

sypark·shhan·yklee@


리걸 에듀
1/3
legal-edu-img
온라인 과정
전사원이 알아야 할 계약서 작성 상식
고윤기 변호사
bannerbanner
신문 구독 문의
광고 문의(신문 및 인터넷)
기타 업무별 연락처 안내
footer-logo
1950년 창간 법조 유일의 정론지
논단·칼럼
인기연재
지면보기
굿모닝LAW747
LawTop
footer-logo
법인명
(주)법률신문사
대표
이수형
사업자등록번호
214-81-99775
등록번호
서울 아00027
등록연월일
2005.8.24
제호
법률신문
발행인
이수형
편집인
차병직 , 이수형
편집국장
배석준
발행소(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1402호
발행일자
1999.12.1
전화번호
02-3472-0601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순신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순신
인터넷 법률신문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전제,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인터넷 법률신문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