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거래소를 통한 비리가 진화하고 있다. 익명으로 거래되는 가상 자산이 탈세와 검은돈 전달의 핵심 루트로 자리 잡고 있어서다. 범죄는 가상자산 업계의 시세 조작이나 횡령 사건에 머물지 않는다. 대북송금, 국회의원 등 무관해 보이는 단어들이 범죄와 결합할 때 최근 들어 빠지지 않는 이름이 가상자산거래소다. 세간을 흔드는 의혹의 중심에는 '빗썸'과 '업비트' 두 거대 거래소가 자리한다. 법률신문은 두 가상자산 거래소를 둘러싼 검찰의 수사 현황을 조사했다. 법률적으로 가장 큰 고초를 겪고 있는 곳은 국내 2위 거래소 빗썸이다.
검찰의 수사는 크게 네 갈래 방향으로 빗썸을 조준하고 있다. 빗썸 관계사의 전환사채(CB) 발행과 관련한 주가조작 범죄와 거래소 상장을 대가로 한 상장피 수수 사건,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 의장의 상장 관련 1000억 원대 사기 사건,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의 대북송금의혹과 주가조작·횡령 사건, 김남국 국회의원의 '위믹스 보유' 의혹 등이다. 개별적으로 벌어진 사건이기에 수사 관할 역시 산재돼있다. 서울중앙지검은 물론 서울 남부지검, 수원지검까지 지역을 가리지 않는다.
서울남부지검은 빗썸 수사의 콘트롤 타워다. 빗썸의 실소유주로 알려진 강종현 씨의 주가조작 및 상장피 의혹과 김 의원의 '위믹스 보유 의혹' 사건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남부지검은 빗썸 주가조작 사건의 핵심 인물인 강종현 씨를 수사해 재판에 넘겼다. 검찰은 현재 빗썸 주가조작 사건의 추가 관련자들과 상장피 의혹에 대한 수사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김 의원의 위믹스 사건도 입법 로비 의혹까지 폭넓게 들여다보고 있다.
1100억 원대 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1심에서 무죄를 받은 이정훈 전 빗썸코리아 이사회 의장은 2심 재판을 기다리고 있다. 서울중앙지검이 이 이사회 의장의 수사를 맡고 있다. 대북송금 의혹과 변호사비 대납 혐의로 수원지검이 수사 중인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 역시 2020년 아이오케이 인수를 통해 빗썸의 주요주주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