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중앙회의 사모펀드(PEF) 출자 관련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을 압수수색했다. 해당 비리와 관련한 검찰 수사가 정점을 향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 1일 비리의 핵심 피의자인 새마을금고 기업금융부 팀장 등을 구속한데 이어 이번에는 박 회장을 직접 겨눴다.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서현욱 부장검사)는 8일 박 회장의 자택과 사무실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검찰은 관련 자료를 분석 후 관련 수사를 이어갈 전망이다. 분석 결과에 따라서는 박 회장의 신병 확보에 나서게 될 여지도 있다.
이에 대해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압수수색의 대상과 범위를 알지 못하며, 새마을금고중앙회 입장에서는 특별히 이번 사건의 사실관계에 대한 입장을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 1일 검찰은 새마을금고 PEF 출자 비리와 관련해 새마을금고 기업금융부 팀장을 구속했다. 해당 팀장은 박 회장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인물로 알려졌다. 그는 기업금융부에서 근무하며 새마을금고의 여러 출자 과정에 깊이 관여했다. 직책은 팀장이지만 박 회장의 신임이 두터워 굵직한 딜에 새마을금고의 출자를 주도했다고 한다. 현재 그는 PEF운용사인 ST리더스PE로부터 불법 리베이트를 받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횡령 및 배임)을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한편 새마을금고가 인수한 M캐피탈의 부사장(전 ST리더스PE 실장)도 함께 구속됐다. 그 역시 박 회장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앞서 검찰은 4월 27일 새마을금고중앙회와 사모펀드 운용사인 ST리더스PE 등 8곳을 압수수색한 후, 압수품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 바 있다. 검찰이 이들에 대한 구속에 나선 것은 압수품의 분석 결과 혐의가 어느 정도 소명됐기 때문이다.
현재 PEF업계에서는 검찰 수사의 초점이 팀장 개인의 일탈과 비리만이 아니라는 말이 나온다. 기업금융부 팀장 등에 대한 구속에 이어 박 회장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선 것은 결국 '윗선'의 혐의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란 이야기다. 불법 리베이트를 통해 얻은 재산상 이익이 어디로 흘러 들어갔는지를 밝히는 것이 검찰 수사의 핵심. 일각에서는 이 돈이 박 회장의 선거자금 조성을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한다. 새마을금고의 출자를 받은 다른 PEF운용사에 대한 전방위적인 수사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