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Artificial Intelligence) 시대의 도래로 전통적인 일자리가 잠식되고 사회 전반에 걸쳐 AI시대에 적합한 인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구직자와 구인자 모두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여 어떻게 대비를 해야 할지, 어떤 역량을 키워야 하거나 어떤 역량을 갖춘 인재를 발굴해야 하는지 많은 고민을 한다. 최근 법인을 설립한 필자와 동료 변호사 역시 채용과 관련하여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어떻게 선발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논의를 하였다.
변호사 직무의 특성상 변호사 개개인의 능력과 역량이 중요 요소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최근 대내외적인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규모 인력이 함께 근무하는 대형 조직이 등장함에 따라 조직내 협업이 중요시되자 시너지 창출을 위한 변호사 간의 협업능력이 개인적 능력 이상으로 중요한 자질로 부각되었다.
그러면 앞으로의 AI시대에는 어떠한 자질이 요구될 것인가? 산업계와 비교될 수준은 아니지만 국내외 변호사업계에서도 판례나 법령 리서치와 같은 기초 업무에 AI기술의 활용을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계적이고 단편적인 업무가 AI에 의하여 대체될수록 변호사 사회가 원하는 인재는 단순히 개인의 지적 능력에 기반하여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 전형적인 엘리트가 아니다. 오히려 논리적 이성에 감성을 탑재하여 의뢰인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감형 인재나 창의적인 사고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유니크형 인재가 더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필자 역시 채용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인터넷을 검색하면 나오는 교과서적이고 단편적인 지식보다는 사안에 대해서 자신만의 시각을 가지고 있거나 지식은 다소 부족하더라도 틀에 박히지 않은 유연한 사고를 하는 지원자에게 큰 매력을 느꼈다. 그렇다고 기본 지식이 경시되는 것은 아니고 기본은 기본대로 의미가 있다.
앞으로 AI기술이 본격화됨에 따라 법률정보나 지식을 단편적으로 검토하고 적용하는 변호사의 업무는 점차 그 비중이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기술이 진보하고 시장환경이 변하더라도 고객과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변호사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이다. AI에 대체되지 않고 AI를 활용하는 변호사가 되는 길은 공감과 소통 능력을 개발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이재훈 변호사 (법무법인 인터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