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b 1.0, 2.0, 3.0, 이 단순한 숫자의 함의는 무엇일까? 이미 수년 전부터 웹 3.0이언급되었는데 이제 메타버스, NFT, 블록체인과 같은 서비스 또는 기술이 구현되면서 요즘 과거보다 더 구체화되고 현실화된 웹 3.0에 대한 얘기들이 나온다. 그 논의를 이끌어가는 주체들을 보면 주로 메타버스나 가상자산과 관련된 이들로서 대표적으로 Grayscale(암호화폐 신탁펀드 투자사)을 들 수 있는데, 그래도 그 내용을 보면 Web의 방향성에 상당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웹 1.0은 월드 와이드 웹(WWW) 상태의 웹으로 1994년부터 2004년까지의 디렉터리 검색과 분류를 위주로 정보를 제공하는 폐쇄적인 서비스 형태의 웹으로서 사람들을 온라인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주된 목적이자 기능이었다면, 웹 2.0은 개방·참여·공유의 정신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생산하여 쌍방향으로 소통하는 사용자 중심으로 변화되고 진화된 웹을 의미하며 '플랫폼으로서의 웹'이 가장 중요한 특징인데, 이것이 닷컴버블 과정에서 살아남은 기업들이 그렇지 않은 기업과 차별되는 특징이었다. 그럼 웹 3.0은 무엇일까? 아직 통일된 정리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웹 3.0이 웹 2.0과 구분되는 특징으로 개인화, 가치의 공유와 분산형(탈중앙화, Decentralized)을 들 수 있다. 웹 3.0은 데이터의 의미를 중심으로 개인화, 지능화, 상황인식 등 인터넷에서의 엄청난 양의 정보를 추출해서 사용자가 지금 필요한 정보와 지식만 보여주는 지능형의 모습을 가지면서도, 모든 자료와 정보를 분산화하여 현재 집중화된 권력과 데이터를 개인에게 되돌려주면서 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중점으로 하여 탈중앙 웹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웹 3.0의 논의를 보면 현재의 웹 2.0 시대가 어떻게 바뀌게 될지 추론해 볼 수 있다. 물론 논의를 이끌어 가는 주체들의 메타버스, 가상자산, 게임 등 사업과 관련된 의견이나 희망이 섞여 있음은 부인할 수 없지만, MZ 세대가 현재 무엇에 관심을 갖고 어떻게 시간을 보내고 있는지 확인한다면, 그리고 AI, IoT, NFT, 메타버스와 관련된 뜨거운 관심과 기업들의 사업방향을 확인한다면, 웹 3.0의 논의는 허황되거나 틀린 것으로 볼 수 없다. 그렇다면 흐름을 읽고 미리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 걸그룹의 가사로 마지막을 정리한다. "I'm on the Next Level, yeah, 저 너머의 문을 열어 광야로 걸어가 위협에 맞서서 제껴라, 제껴라, 제껴라."
이근우 변호사(법무법인 화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