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매체에서 2021년을 괴롭힌 '사이버보안 사건·사고'를 각 월별로 정리했는데, 그 중 대한민국과 관련 있는 것에는 AI 챗봇 '이루다'의 서비스 중단(1월), 개인정보 대신 개인안심번호로 코로나19 수기명부 지침 개선(4월), 기상청의 이메일 해킹(5월), VPN 취약점 노린 연속 해킹의 서막 '한국원자력연구원·대우조선해양·한국항공우주산업' 해킹(6월), 콘티 랜섬웨어 해커조직의 한화생명 베트남 법인 공격(8월), 서울성모병원 구 홈페이지 해킹 등(9월), QR코드 이용한 악성메일 등장(10월), 한국 아파트 월패드 해킹(11월), Log4j 취약점, 제2의 워너크라이 사태 우려(12월)도 포함돼 있다. 12월의 Log4j 취약점 문제의 경우, 12월 10일 美 Foxnews가 위험척도 최고등급으로 해커가 정보시스템의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할 수 있는, 전세계적으로 역사상 가장 위험한 Log4j 보안취약점이라고 보도한 후 각국이 대응에 부심하고 있다. Log4j는 인터넷 사용 시 발생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로깅 프로그램으로서, Log4j 취약점은 전세계 대다수 대기업과 정부기관에서 사용하는 Apache(아파치) 서버의 Log4j 2 중에 존재하는 JNDI인젝션 취약점이고 그에 영향받는 소프트웨어 종류가 방대하다.
이근우 변호사 (법무법인 화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