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국민은행
logo
2023.10.03 (화)
지면보기
구독
한국법조인대관
사설
'변호인 조력권 침해 신고센터'의 조속한 출범 기대한다
2022-04-07 08:57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URL 복사
인쇄
글자 크기
스크랩
기사 보관함
스크랩 하기
로그인 해주세요.
기사 메일 보내기
로그인 해주세요.
대한변호사협회(협회장 이종엽)가 '변호인 조력 침해 신고센터'를 올해 상반기에 출범키로 했다. 대한변협은 관련 안건을 의결하고 지난 달 30일부터 이달 8일까지 전국회원을 대상으로 신고센터 운영위원을 모집하는 등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돌입했다. 신고센터는 국세청 일반세무조사나 공정거래위원회 임의조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국민과 변호인에 대한 권리·권익 침해 행위를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조사권을 가진 모든 국가기관으로 그 신고대상을 개방할 계획이다. 그동안 대한변협은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 관세청 등 이른바 권력형 조사기관들이 피조사자의 방어권과 변호인조력권을 침해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는 점을 주시하여 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변협과 법조계에 따르면, 전속고발권 등 막강한 권한을 가진 행정기관이 조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피조사자의 진술거부권 침해, 변호인의 입회권 침해, 메모 금지, 설명 거부, 열람복사 거부를 비롯하여 일정한 절차 없이 임의조사를 강제조사로 전환하는 경우 등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돌이켜 보면, 2017년말 금융감독원의 불공정거래 조사업무에서 변호인의 입회를 거부한 금융감독원의 조치가 있었다. 이에 대한 헌법소원의 제기로 인하여 행정조사에 있어서 피조사자의 절차적 권리보장의 여부가 크게 논의된 바 있다. 그 이전에는 금융감독원이 피조사자와의 문답 과정에서 진술거부권과 변호인선임권을 고지하지 아니하고 작성한 서류가 형사재판에서 증거능력을 가지는지 여부 등이 이슈가 된 적이 있다. 법리적으로 행정조사가 단순한 행정절차인지 아니면 수사절차인지의 여부가 쟁점이지만, 실질에서는 피조사자가 행정기관으로부터 조사를 받을 경우 느끼는 심리적 압박, 조사과정에서 생성된 문서가 수사 및 형사재판에서 증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수사절차와 다름이 없다고 하겠다.

따라서, 피조사자에게는 수사절차에 버금가는 절차적 권리 보장이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현재의 불합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당해 행정기관과 조사를 담당하는 공무원의 인권 의식이 함양되어야 한다. 정기적인 인권 교육과 자체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자기 통제만으로는 국민과 변호인에 대한 권리·권익 침해 행위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대한변협이 발표한 사례에서 보듯이 행정기관의 구두선(口頭禪)에도 불구하고 개선의 기미가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대한변협이 현장 상황을 경험한 변호사들과 일반 시민들을 통하여 권력적 조사기관의 부당한 방어권 및 변호사 조력권 침해 사례를 신고받고 이를 감시하는 기구를 발족하기로 한 것은 시의적절하다고 하겠다. 향후 신고센터의 출범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기를 고대하면서 모쪼록 대한변협의 이번 조치가 권력적 조사기관들에 인권과 법치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리걸 에듀
1/3
legal-edu-img
온라인 과정
실무자를 위한 행정처분 대응방법
김태민 변호사
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banner
구독 서비스 결제 안내
이용 중이신 구독 서비스의 결제일은 7월 1일입니다.
원활한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간편결제 신용카드를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footer-logo
1950년 창간 법조 유일의 정론지
논단·칼럼
인기연재
지면보기
굿모닝LAW747
LawTop
footer-logo
법인명
(주)법률신문사
대표
이수형
사업자등록번호
214-81-99775
등록번호
서울 아00027
등록연월일
2005.8.24
제호
법률신문
발행인
이수형
편집인
차병직 , 이수형
편집국장
배석준
발행소(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14층
발행일자
1999.12.1
전화번호
02-3472-0601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순신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순신
인터넷 법률신문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전제,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인터넷 법률신문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