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국민은행
top-image
logo
2023.06.04 (일)
지면보기
한국법조인대관
김지형의 추상과 구상
90초
김지형 대표변호사 (법무법인 지평·전 대법관)
2023-02-09 07:34

2022_chu_gu.jpg2022_chu_gu_face.jpg

 

지금 누군가를 떠올려보자. 그의 첫인상은 어땠는지, 얼마나 달라졌는지 생각해 보자. 첫인상은 관계도 운명도 바꿔 놓을 수 있다. 그만큼 중요하다. 첫인상이 결정되는 데는 ‘90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그 안에 좋은 인상을 남겨야 한다. 니콜라스 부스먼이 〈90초 첫인상의 법칙〉을, 이케가미 아키라가 〈90초 스피치〉를 쓴 이유다.

A/B 테스트가 있다. 웹 사이트 방문자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기존 사이트와 새 디자인 사이트를 따로따로 보여준 다음, 두 집단 중 어떤 집단에서 더 높은 성과를 보이는지 측정하는 방식이다. 넷플릭스가 가장 공을 들인 것은 VOD의 커버 이미지에 대한 A/B 테스트였다. 넷플릭스의 A/B 테스트도 ‘90초’ 법칙에 따랐다. 90초 안에 이용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커버 이미지는 아예 테스트에서 제외되었다.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을 때 슬픔, 수치심, 무력감, 분노, 당혹감, 실망, 좌절감 등에 사로잡히게 된다. 심리학자 조앤 로젠버그는, 이 감정들을 피하지 않고 이겨낼 수 있어야 원하는 삶을 추구할 수 있다고 한다. 그는〈인생을 바꾸는 90초〉에서 이런 감정들을 ‘90초’ 만에 이겨내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185143.jpg

2016년 8월 3일 승객과 승무원 300명을 태운 여객기 한 대가 두바이 국제공항에 동체 착륙하는 비상사태가 발생하였다. 그때 상황이 얼마나 긴박하고 위태로웠는지 당시 연합뉴스가 생생히 전하고 있다. “3일 낮 12시 45분께 두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한 에미레이츠 항공 보잉 777-300 여객기는 ‘쿵’ 소리와 함께 활주로를 미끄러졌다. 머리 위에서 비상용 산소마스크가 떨어져 내려왔다. 앞부분에서 새어 나온 연기로 기내는 자욱해졌고 겁에 질린 승객들은 비명을 질렀다. … 여객기가 멈추자 승무원들은 즉시 뒷문을 열고 황급히 비상 탈출용 슬라이드를 활주로를 향해 폈다. … (282명의) 승객들은 공포에 질려 우왕좌왕했지만 승무원의 침착한 안내에 의지해 뒤쪽으로 차례로 움직였다. 승객이 모두 탈출하자 마지막으로 승무원 18명이 뒷문에 펼쳐진 슬라이드를 타고 비행기를 빠져나갔다. 이들이 모두 탈출하자 기체의 날개 부근에서 붉은 화염이 솟아오르면서 폭발음이 났다. 기체의 앞부분은 천정이 열린 것처럼 모두 타버렸다.” 항공사고의 골든타임은 ‘90초’라고 한다. 이 사고에서 탑승자 모두가 무사했던 것은 승무원이 90초 안에 승객을 탈출시켰기 때문이다. 300명의 생사를 가른 90초였다.


우주의 나이는 137억 9,800만 년±3,700만 년, 지구의 나이는 45.4억 년±0.5억 년이라고 한다. 지구에 생물이 탄생한 것은 약 38억 년 전이고, 인류와 비슷한 동물이 약 250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 종이 약 10만~20만 년 전 처음 출현했다고 한다. 이러한 거대 시간에 비하면 90초는 찰나 중의 찰나다. 그러나 이 90초는 일상의 관계, 운명, 사업, 인생, 생사를 바꿔놓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이리 보면 법조인 역시 90초에 충실해야 함은 법정이나 검사실이나 변호사 사무실에서, 그리고 표정이나 말씨뿐만 아니라 이것을 대신하는 서면에서 모두 예외가 아니지 않을까?

미국 핵과학자회가 지난 1월 24일 ‘운명의 날 시계’(Doomsday Clock)가 23시 58분 30초를 가리킨다고 발표했다. 마지막 자정까지는 불과 ‘90초’ 남았다는 것이다. 이 시계는 핵에 의한 인류 종말을 경고하기 위해 핵과학자회가 아인슈타인 등 원자폭탄 개발프로젝트의 주요 과학자들과 함께 만들었다고 한다. 가상의 시계지만 현실의 시계에서의 90초와 묘하게 대조된다. 더구나 1947년 첫 설정 이후 자정에 가장 가까이 다가섰다고 하니, 섬뜩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등으로 핵 위협이 증가하고 기후 위기가 커지는 것 등이 분침을 앞당긴 주요 이유라고 한다. 누가 어떻게 이 90초의 운명을 바꿀 것인가. 해답을 모르지 않는다. 알면서도 행하지 않는 것이 문제다.

유발 하라리는 〈사피엔스〉에서 “40억 년 가까운 세월 동안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자연선택의 법칙에 따라 진화했다.”, “하지만 21세기에 … 호모 사피엔스는 자연선택의 법칙을 깨기 시작하면서, 그것을 지적설계의 법칙으로 대체하고 있다.”라고 썼다(마지막 장 「호모 사피엔스의 종말」에서). 「후기」에 밝힌 그의 경고는 가슴을 후빈다. “(우리는) 과거 어느 때보다 강력한 힘을 떨치고 있지만, 이 힘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에 관해서는 생각이 거의 없다. 이보다 더욱 나쁜 것은 인류가 과거 어느 때보다도 무책임하다는 점이다. … 오로지 자신의 안락함과 즐거움 이외에는 추구하는 것이 거의 없지만, 그럼에도 결코 만족하지 못한다.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지도 모르는 채 불만스러워하며 무책임한 신들, 이보다 더 위험한 존재가 또 있을까?” 그의 경고가 단지 경고에 그치기만 바랄 뿐이다.


김지형 대표변호사 (법무법인 지평·전 대법관)

 


리걸 에듀
1/3
legal-edu-img
온라인 과정
전사원이 알아야 할 계약서 작성 상식
고윤기 변호사
bannerbanner
footer-logo
1950년 창간 법조 유일의 정론지
지면보기
굿모닝LAW747
LawTop
footer-logo
법인명
(주)법률신문사
대표
이수형
사업자등록번호
214-81-99775
등록번호
서울 아00027
등록연월일
2005.8.24
제호
법률신문
발행인
이수형
편집인
차병직 , 이수형
편집국장
배석준
발행소(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1402호
발행일자
1999.12.1
전화번호
02-3472-0601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순신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순신
인터넷 법률신문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전제,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인터넷 법률신문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