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국민은행
top-image
logo
2023.06.04 (일)
지면보기
한국법조인대관
취재수첩
[취재수첩] ‘주택임대차법 제6조의3’ 둘러싼 엇갈리는 해석
이용경 기자
2023-03-02 07:09
reporter_yong.jpg
"임대인이 실거주 목적으로 임대차 계약의 갱신을 거절하겠다고 명시적으로 밝힌 상황에서 임차인은 임대인의 말을 그대로 신뢰했을 뿐인데, 이 같은 신뢰가 보호받지 못한다는 것은 조금 받아들이기 어렵지 않나 생각합니다."

법률신문은 최근 임대인이 실거주 목적으로 기존 임차인에게 임대차 계약의 갱신 거절을 통보해 놓고 이후 다른 임차인과 새 임대차 계약을 맺었더라도 기존 임차인이 계약 갱신 요구 자체를 하지 않았다면 임차인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에 따라 임대인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는 없다는 판결 내용을 보도했다.

위 발언은 이 사건에서 원고(임차인)를 대리한 변호사가 한 말이다. 그는 주위적 청구인 주택임대차법 제6조의3 제5항에 따른 손해배상 주장이 법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은 점에 대해선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별도로 계약갱신을 요구할 법률상 실익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다만 예비적 청구로 임대인이 민법 제750조에 따른 불법행위를 했다고 주장하며 일부승소를 끌어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에는 유사한 사안에서 임대인이 실거주를 이유로 명시적으로 임대차 계약 갱신 거절 의사를 먼저 밝힌 경우 임차인이 계약갱신 요구를 하지 않았더라도 주택임대차법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1심 판결이 있었다.

이처럼 최근 하급심에선 주택임대차법 제6조의3을 두고 엇갈린 해석이 나오고 있다. 법조에선 유사한 사안에 대해 하급심마다 판단이 다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대인과 분쟁에 빠진 임차인 측을 주로 대리하는 변호사 사이에선 "주택임대차법 규정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재판부의 해석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다. 한 변호사는 "주택임대차법 개정 이후 관련 사건들이 다수 생기는 상황"이라며 "어느 것이 더 타당한 것인지에 대해선 대법원의 판단으로 정리가 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임차인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주택임대차법이 개정된 이후 임대차 계약 갱신을 둘러싼 분쟁은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하급심 재판부가 엇갈리는 판결을 내놓는다면 임차인 보호는 요원할 수밖에 없다. 조속한 해법이 필요해 보인다.
리걸 에듀
1/3
legal-edu-img
온라인 과정
전사원이 알아야 할 계약서 작성 상식
고윤기 변호사
bannerbanner
footer-logo
1950년 창간 법조 유일의 정론지
지면보기
굿모닝LAW747
LawTop
footer-logo
법인명
(주)법률신문사
대표
이수형
사업자등록번호
214-81-99775
등록번호
서울 아00027
등록연월일
2005.8.24
제호
법률신문
발행인
이수형
편집인
차병직 , 이수형
편집국장
배석준
발행소(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1402호
발행일자
1999.12.1
전화번호
02-3472-0601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순신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순신
인터넷 법률신문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전제,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인터넷 법률신문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