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향의 추억을 되살리는 두 점의 서화(書畫)
전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
(1985. 3. 12. - 1986. 5. 5.)
서울지검 특수1부장에서 전주지검 차장검사로 전보된 것은 당시 법무부 장관의 특별한 인사 원칙 때문이었다.
서울지검에서 공안부장, 형사1부장과 특수1부장 등 세 자리는 어느 정도 영전이 보장된 직책이었다. 나 스스로 대과 없이 특수부장으로 근무했다고 생각했는데, 인사 발령을 받고 보니 영전이 아니라 좌천 같은 느낌이 들었다. 당시는 작은 지방검찰청의 차장검사는 서울 본청의 부장검사로 전속되기를 희망하던 시기이므로 청의 규모도 작고, 교통도 매우 불편했던 전주지검으로의 발령이 이상하다고 느껴 이종남 검사장실을 찾아갔다. 이 검사장님은 곧장 나를 데리고 검찰총장실에 갔다.
이 인사 발령 당시 법무부 장관은 김석휘(金錫輝), 검찰총장은 서동권(徐東權) 씨였다. 김 장관은 내가 특수부장일 때 2년 8개월간 검찰총장이었고, 그의 서울지검 차장검사 시절, 나는 형사3부의 검사였다. 총장 역시 내가 법무부 법무과장 때 차관으로 모셨으며, 총장이 된 후 1개월 정도 나는 특수1부장 직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종남 검사장은 총장의 고려대 동문으로 내 인사 연유를 물었다. 총장 역시 이유를 몰랐던 지라 법무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었다. 전화 후 알려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번 인사는 검찰 인사 관행을 바꿔야겠다는 장관의 특별한 인사 방침에 따라 이뤄졌다. 아무리 작은 지검의 차장검사라 하더라도 그 직책이 부장검사를 지휘하는 상 서열이므로, 지검 차장이 서울지검 부장검사로 발령 나는 것을 영전으로 여기는 풍토는 반드시 시정돼야 한다. 또 아무리 작은 지청이라 하더라도 지청장은 작은 검찰총장이므로 이 지청장을 우대하는 인사 관행이 정착돼야 한다.
이런 인사 원칙이 자리 잡으려면 부장검사 중에서도 특히 유능한 사람을 뽑아야 하므로 송종의라는 부장검사를 발탁했다는 것이었다. 이런 뜻을 깊이 이해해 본인이 섭섭하지 않도록 인사 방침을 잘 설명해 주라는 취지였다. 무슨 말을 할 수 있었겠는가? 그길로 검찰총장실을 나와 즉시 전주지검으로 부임할 준비를 할 수밖에 없었다. 전주지검이란 낯선 검찰청으로 부임하는 나의 마음이 편치 못했던 건 사실이다. 만 12년간 서울에서만 근무하다 고달픈 타향살이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특수1부장서 전주지검 차장검사 전보
영전 아닌 좌천 느낌에 연유를 알아보니
부장검사를 지휘하는 차장검사와
지청장 우대 인사관행 정착하기 위한
당시 법무부 장관의 특별한 인사 원칙
명절 임박하여 찾아온 지역사업가
봉투 두고 가기에 정중히 거절했더니
서예가 글씨 받아 가리개 만들어 와
법관으로부터 받은 산수화와 함께
지금도 내가 사는 천고재 한 켠에…
전주지검은 전라북도 전체를 관할하는 검찰청으로서 산하에 3개의 지청이 있었다. 군산, 정읍, 남원지청이다. 군산과 정읍은 합의지청이고, 남원은 단독지청이었다. 본청은 전주시와 김제, 완주, 임실, 진안, 무주 등 5개 군을 관할하는 검찰청이었으나, 전주시 이외에는 대부분이 농촌 지역이어서 별로 큰 사건이 없었다. 다만 군산지청은 군산시와 이리시(현재 익산시)를 관할하고 있는 지청이었으므로 사건의 질로 보면 오히려 본청보다 군산지청에서 더 큰 사건이 많았다.
부임 직후 검찰 직원의 현황을 파악해 보니, 나와 같은 날짜로 부임한 전팔현(全八現) 씨가 군산지청장, 양현국(梁鉉局) 씨가 정읍지청장, 임성재(任聖宰) 씨가 남원지청장이었다. 전팔현 씨는 고시 14회로서 법대 7년 선배, 양현국 씨는 고시 16회로서 법대 1년 선배였으며, 대학 후배인 깁봉환(金奉煥) 부장검사 밑의 평검사 5명 중 선임인 J씨는 사법시험 2회에 합격한 법대 2년 선배였다. 아무리 차장검사라 하더라도 사정이 이러하니 직무 수행이 그리 쉽진 않아보였다. 그러나 검사장은 나의 용산고 3년 선배인 김주한(金宙漢) 씨였다. 서울공대 출신으로서 훗날 대법관을 역임했으며, 가히 ‘현세의 선비’라고 할 만한 사람이었다.
우선 살 곳을 찾아야 했는데, 평검사도 구하기 어렵다는 하숙집을 차장검사가 찾는 건 더욱 힘들었다. 부득이 시내 어느 여관방을 얻게 됐다.
평검사 5~6명 중 위 J 검사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이 초임이거나 경력이 일천해 그들의 사건 처리가 치밀하지 못해 눈에 띄는 몇 가지 사례를 표본적으로 골라 부전지를 달아 내려보냈더니 이 방 저 방에서 아우성이 들리기 시작했다. 내가 대구지검 초임 검사 시절 겪었던 일의 10분의 1도 되지 않았는데도, 차장검사가 하도 까다로워서 일 처리가 힘들다는 불평이 들려왔다. 그러나 이런 복무 방침으로 그들은 점차 검사로서의 수사 역량이 함양됐다고 믿는다. 이 부전지를 근거로 검사들의 사건 처리에 관한 중요한 내용을 검사장에게 매달 보고드렸다.
전주에서 근무한 덕분에 얻은 귀중한 서화에 대한 이야기를 적어 둔다.
첫 번째는 ‘독서익인의지(讀書益人意智) 학도토이총명(學道吐爾聰明)’이란 12자의 예서를 두 쪽으로 표구해 만든 가리개 1개이다.
어느 날 지방의 유지 한 분이 찾아왔다. 아마 추석이나 설 명절이 임박했던 때였을 것이다. 이분 명함을 받아보니 지역의 사업가였다. 그가 봉투 한 개를 꺼내 응접탁자에 놓고 가려하기에 이를 정중히 거절하며 호의만을 받겠다고 말했다. 매우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너무 쌀쌀맞게 대한 것이 아닌가 생각했으나 이미 거절한 것을 다시 거둬들일 형편은 아니었다. 검사님의 성품을 잘 알지 못해 큰 실례를 범한 듯 하니 너그러이 용서해 달라는 취지의 말을 남기고 그는 돌아갔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가 다시 찾아왔다. 나에 대한 소문을 들어 보니 당연히 그 봉투를 받지 않을 분임을 알게 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미 성의를 표한 적이 있으니, 봉투 대신 지방의 유명한 서예가 한 분을 찾아가 두 폭의 글을 받아 왔다고 했다. 이를 가리개로 만들어왔는데 이마저 거절한다면 매우 섭섭하다는 취지였다. 그가 처음 방문한 후 알아보니 관내에서 사업을 하는 사람이긴 하나, 평판도 좋고 검찰에 사건도 없음을 알게 됐다. 그가 내게 준 가리개 표구 1점을 지금껏 보관하고 있다.
그 글을 써 준 사람은 소남(素南) 이규진(李圭鎭) 씨였으며, 그가 만들어 준 가리개는 지금 내가 사는 천고재(天古齋)의 안방 한구석에 자리 잡고 있어서 그것을 볼 때마다 늘 위와 같은 사연과 그와의 대화 장면이 생각난다. 돈 봉투를 받지 않아, 잘은 모르지만 더 큰 돈을 들여 서예가의 글씨를 받아 가리개를 만들었을 것이다. 소남 선생은 뒤에 말하는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 여산(如山) 권갑석(權甲石) 씨 등과 함께 이 지방을 대표하는 서예가였으며, 현재 무주 적상산(赤裳山) 안국사(安國寺)에 있는 청하루(淸霞樓)의 현판이 그분의 글씨이다.
두 번째는 벽천(碧川) 나상목(羅相沐) 씨가 그린 산수화 1점이다.
당시 모 지방법원에 근무하던 대학 3년 후배인 전주 출신 부장판사 한 분이 있었다. 그가 어떤 사건의 선처를 부탁해 왔는데, 살펴보니 내용이 별것 아닌데다 모처럼 법관이 부탁하는 사건이었으므로 신속하게 원만히 처리했다.
얼마 후 그가 나의 사무실을 찾아와 감사의 뜻으로 놓고 간 것이 벽천의 산수화다. 벽천 선생은 당시에도 호남 지방에서는 유명한 화백으로 소문난 사람이었다. 초록색보다 더 짙푸른 청색을 사용하여 산수화를 그리는 화백이었다. 이 귀중한 산수화는 내가 표구해 현재 내가 사는 천고재에 걸려 있다. 이것이 법관으로부터 받은 호의였으니 설마 법원의 재판받을 일이야 있겠는가?
세 번째는 강암 송성용 선생의 휘호로 각인된 현판 1개이다.
이 귀중한 현판이 내 손에 들어오긴 했으나, 1995년에 소실돼 현재는 그 모습을 찾을 수 없다. 당시 사무국 간부로서 능력과 인품이 출중한 검찰사무직 한 분이 있었다. 소병일(蘇秉一)이란 사람이다. 이분께서는 오래전에 교통사고로 별세하셨다. 내가 논산 밤나무 산에 10여 평의 관리사를 짓고, 그 집의 옥호를 무애산방(無礙山房)이라 이름한 것을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알게 된 그가 강암 선생의 독특한 필체로 된 그 농막의 이름을 괴목 나무판에 새겨 선물로 준 것이었다.
강암 선생은 자타가 공인하는 전북 지역의 대표적인 서예가였다. 이 귀중한 현판을 그 집에 걸어 놓았으나 대검 차장검사의 직에서 퇴직한 후 잠시 미국을 다녀왔더니 원인 모를 화재가 발생해 위 관리사가 전소됨으로써 이 귀중품 역시 불타 없어져 버렸다. 전주 IC 부근 8차선 기린대로를 가로질러 세운 일주문 현판의 ‘湖南第一門(호남제일문)’이란 다섯 글자가 그분의 글씨다. 위 세 개의 서화가 내가 전주지검 차장으로 근무하였던 인연으로 내게 온 귀중한 물건이다.
내가 이를 전주에서 얻었으나, 나는 제8대 조계종 종정이었던 서암(西庵) 스님의 휘호 두 개를 표구하여 전주지검에 남기고 왔다. 서울지검 특수1부장 시절, 문경 희양산(曦陽山) 봉암사(鳳巖寺) 조실이었던 스님을 친견하여 받은 ‘처렴상정(處染常淨)’과 ‘상락아정(常樂我淨)’이란 두 폭의 글이다. 그 보존 여부는 알지 못한다.
내가 전주에 와서 둘러보게 된 고찰은 남원의 실상사(實相寺), 함양의 벽송사(碧松寺), 산청의 대원사(大源寺), 하동의 쌍계사(雙磎寺), 법계사(法界寺), 칠불사(七佛寺), 구례의 연곡사(燕谷寺), 화엄사(華嚴寺), 천은사(泉隱寺) 등이었다. 지리산을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돌면서 가본 여러 골짜기와 대소 사암(寺庵)을 모두 찾을 수 있는 행운은 전주지검이 내게 준 크나큰 선물이었다.
당시의 전주지방검찰청 검사장 김주한(金宙漢) 선배님께 경의를 표하며, 고(故) 소병일 공의 명복을 기원하는 바이다.
<정리=박솔잎 기자>